중독학과

 

교수진

교수소개(성심교정)

안내사항

  • 교수진 정보는 아래 노출 순서 기준에 따라 정렬 되었습니다.

    * 노출 순서 기준 : 해당 학과 소속 교원 內 직위순 - 입사일순 - 이름순 / JA 교원 內 원 소속 학과명순 - 직위순 - 입사일순 - 이름순

  • 해당 메뉴에는 2개 이상의 전공 소속 교원인 JA교원* 정보가 함께 노출되며, JA교원의 학과 정보는 '원소속 학과'를 기준으로 노출 됨을 참고 부탁 드립니다.

    * JA(Joint Appointment)교원이란?

    • 교원의 학제간 교육 및 연구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본교에 소속된 교원이 원소속 부서(원소속학과(부), 전공, 교실, 부설 기관) 외 겸무 부서(타 학과(부), 전공, 교실, 부설 기관)에 소속되어 강의, 연구, 학생지도, 산학협력 등의 업무를 겸하여 수행하는 교원을 말합니다.
게시글 검색
전체
  • 이석호 교육전담초빙교수

    Sokho Lee

    • 소속학과

      중독학과

    이석호(Sokho Lee) 프로필 이미지
  • 하민경 조교수

    Minkyung Ha

    • 소속학과

      법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605

    • 연구분야

      법학

    • 연구키워드

      형사법

    하민경(Minkyung Ha) 프로필 이미지
    하민경 교수는 대한민국의 형사법학자로, 통합적 형사사법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응보적-회복적-치료적 사법에 관하여 주로 연구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에서 미국법 전공 법학전문석사(LL.M.)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뉴욕주 변호사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이후 대법원 산하 사법정책연구원에서 연구위원으로 재직하면서 여러 비교형사법 연구들을 수행하였다. 2019년 가톨릭대학교 법학과 교수로 임용되었고, 2020년부터는 일반대학원 중독학과에서 법정책 담당 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하민경 교수의 대표논문으로는 KCI우수등재지인 '법조'에 게재된 "순전한 회복적 사법의 구현으로서 형사조정제도의 전망", 한국법학원에서 발간하는 '저스티스'에 게재된 "스토킹 범죄와 치료적 사법", 대검찰청에서 발간하는 '형사법의 신동향'에 게재된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대한 착오: 고의설의 실천적 의미와 부활 가능성" 등이 있다. 우리 법제와 외국 법제의 교류를 위해 한국법제연구원 법령번역센터와 함께 우리 형법 조문의 영문 번역을 감수하였고,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과 비교형법 공동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근에는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법적 대응에 관심을 가지고 한국법제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과 함께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Prof. Minkyung Cecilia Ha is a criminal justice scholar in South Korea who focuses on retributive, restorative, and therapeutic criminal justice systems for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riminal justice. She graduated from Korea University School of Law in 2009, received LL.M. from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Law School in 2010, and earned Ph.D. from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Law in 2013. She is a member of the New York State Bar and served as a research fellow at the Supreme Court Judicial Policy Research Institute for over four years, using comparative legal research methods with U.S. law. Since her appointment as a professor of law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 2019, she has also been serving as a professor of legal policy for solving addiction problems in the Department of Addiction Studies at the Graduate School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rofessor Ha's representative articles include "Prospects of the Criminal Conciliation System as an Implementation of Purely Restorative Justice" published in Law Review, the most prestigious KCI honors journal in the field of law. She has also showed her interest in the legal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works on several recent issues with the Korea Institute of Legal Studies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김용석 교수

    Kim, Yong-seok

    • 소속학과

      사회복지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306

    • 연구분야

      사회복지학

    • 연구키워드

      중독 척도개발

    김용석(Kim, Yong-seok) 프로필 이미지
  • 이희경 교수

    Lee Heekyung

    • 소속학과

      심리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806

    • 연구분야

      상담심리학, 긍정심리

    • 연구키워드

      긍정정서와 정서조절 강점과 외상후 성장 친밀한 대인관계 긍정성 공명

    이희경(Lee Heekyung) 프로필 이미지
    상담심리학을 전공하고 한국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No.84)과 주수퍼바이저 자격을 취득하여 상담 전공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한국상담심리학회 부회장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장을 역임했다.  긍정심리 특성이 심리적 고통 극복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심 갖고 연구하고 있다.  
    												
    							
  • 김보영 부교수

    Boyoung Kim

    • 소속학과

      심리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401

    • 연구분야

      심리학

    • 연구키워드

      상담심리학

    김보영(Boyoung Kim) 프로필 이미지
    상담심리학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 결과물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저명전문학술지(SSCI)에도 왕성하게 게재되고, 인용되고 있다. 2020년 한국상담심리학회 소장학자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국제공동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로 가톨릭대학교 연구자 시스템인  PURE에 사회과학 분야 대표 연구자로 홍보되고 있다. 
    Boyoung Kim has been conductiong research in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ctively published and cit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international renowned academic journals (SSCI). In 2020, she was awarded the Young Scholar Award of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y Association and is actively conducting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For these achievements, PURE, a system of researchers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s promoting Boyoung Kim as a representative researcher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 정태영 조교수

    Jeungtaeyoung

    • 소속학과

      학부대학

    • 연구실

      비르투스관 V303

    • 연구분야

      신학

    • 연구키워드

      영성신학

    정태영(Jeungtaeyoung) 프로필 이미지
    정태영 신부는 중세 그리스도교 영성저자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를 하고 있다. 그 작품들이 후대에 끼친 영향과 오늘날에 가지는 의미들을 탐구하며 영성생활의 쇄신과 올바른 방향제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영성의 실천적 적용을 위해 융복합학과인 중독학과에 참여하고 있다. 여기서 영성을 기반으로 한 중독회복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연구업적 
    
    1.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는 어떤 영적 양성을 받았을까?: ‘김대건 신부의 서한’과 ‘파리 외방 전교회 선교 350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를 중심으로
    2. 교회전통의 ‘수련(Exercitium)’을 신학생 양성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3. 보나벤투라의 ?하느님을 향한 마음의 여정?에 나타난 ‘수련’의 의미
    4. 생티에리의 기욤의『아가 주석』에 대한 연구: ‘신심상태’(status pietatis)를 중심으로
    5. 규율사제단과 생 빅토르의 후고의 영성 - 서울대교구 ‘기도소임사제’ 제도를 위한 제언적 연구
    6. 헬프타의 제르투르다의 영성:『수련』(Exercitium)을 중심으로
    7. 생 빅토르의 리카르두스의『관상을 위한 영혼의 준비: 소벤야민』연구
    
    Father Jeung Tae-young has been focusing on the works of Christian spiritual authors in the Middle Ages. By exploring the influence of these works on later generations, he is trying to renew spiritual life in contemporary society. Moreover, he is also involved in the Addiction Studies faculty,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recoveries through spirituality.
    
    
    
    Articles 
    
    1. How was St. Andrew Kim formated in the seminary for his spiritual life? - According to his letters and anniversary symposium materials of MEP 350 years.
    2. How to install Excerticium for the formation in our seminary ?
    3. The meaning of Excerticium in Bonaventure's Itinerarium Mentis in Deum.
    4. Study of the Exposition on the Song of Songs written by William of St. Thierry: Focused on 'status pietatis'
    5. Canon Regular and the Spirituality of Hugh of St. Victor-A study for the Priests of praying mission in Seoul Discese.
    6. Spirituality of Gertrude of Helfta focused on Exercitium. 
    7. A Study on “De praeparatione animi ad contemplationem: Benjamin minor” written by St.Victor Ricardus.